구글의 애드센스 광고비 정산은 미국 달러로 이루어집니다. 제 블로그의 수익 상황으로 볼 때 정산은 아직 멀었지만 마냥 방치할 수도 없어서 외화통장을 알아보았습니다.
외화통장에 대해 알아보기 시작한것은 토스뱅크의 환전무료 배너를 보고 난 다음부터였습니다. 외화를 송금받아 원화로 출금할 때에는 수수료가 2번 드는데, 한 번은 외화를 송급할 때(송금받을 때) 수수료가 들고, 나머지 한 번은 환전을 위한 수수료입니다. 환전 수수료가 무료면 이걸로 만들면 되겠다 싶어서 토스뱅크에 외화통장을 개설했는데, 토스뱅크의 기존 통장에 외화통장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이더군요. 토스뱅크의 외화통장 개설을 마치고 애드센스에 등록하려고 보니 SWIFT코드를 입력하라는데, 토스뱅크 외화통장은 아무리 찾아봐도 SWIFT코드가 보이지 않더라고요. SWIFT코드는 빠르고 정확한 해외송금을 위해 부여되는 코드로 외화거래가 가능한 은행이나 증권사는 대부분 있다는데 토스뱅크는 이 SWIFT코드가 아직 부여되지 않았다고 하더군요. SWIFT코드가 없기 때문에 토스뱅크의 외화통장은 애드센스 지급계좌로 사용할 수 없고, 같은 이유로 카카오뱅크 외환통장도 사용 불가이기 때문에 다른 은행의 외화통장을 알아보아야 합니다.
애드센스 정산을 받는 크리에이터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외화통장은 SC제일은행(SC스탠더드차티드은행)과 우리은행이라고 합니다. 제일은행은 송금 수수료가 저렴하고 우리은행은 크리에이터를 위한 외화통장 상품이 따로 있어서 많이 선택한다고 하네요. 그런데 저는 양쪽 다 어떠한 거래도 한 적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얼마나 자주, 얼마나 많이 지급받을 수 있을지 모르는 애드센스 정산을 위해 수많은 번거로움을 각오하고 이 두 은행을 이용해야 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특히나 우리은행은 혜택 유지를 위한 조건도 있으니 애드센스 정산으로 혜택 유지가 가능하면 모를까,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혀 고려해 볼 만한 상품이 아니었습니다.
아마 처음에는 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저는 주거래은행의 버프를 받고자 KB국민은행에 외화통장을 만들었습니다. KB외화통장의 가장 큰 강점은 개설이 간편하다는 거예요. 24시간 비대면으로 외화통장 개설이 가능합니다. 개설하다 보면 외화통장 목적을 등록하라고 하는데, 저는 외화로 재테크를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단순 입출금용으로 개설하였습니다.
KB 외화보통예금
- 거래 가능 통화 11개 (USD, JPY, EUR, GBP, CAD, NZD, AUD, HKD, CHF, SGD, CNY)
- 매년 5월 11월 둘째 금요일에 결산하여 다음날 이자 지급
- 비과세종합저축 가입이 불가능
SC 초이스외화보통예금
- 거래 가능 통화 1개 (USD)
- 매년 3월 6월 9월 12월 둘째 토요일에 결산하여 다음날 이자 지급
- 초이스혜택 1 : 인출일 기준 1개월 평균 잔액 USD 5,000 이상 해외송금수수료 무료
초이스혜택 2 : 인출일 기준 2개월 평균 잔액 SUD 10,000 이상 외화현찰수수료 무료
우리 크리에이터우대통장
- 매월 셋째 주 토요일 이자 지급
- 비과세종합저축 가입 가능
- 조건 충족 시 다음 해 환율우대, 해외 송금수수료 우대
외화통장을 개설했으면 구글 애드센스에 지금 계좌를 등록해야 합니다. 구글 애드센스에 접속하셔서 로그인하시고 지급 - 지급정보 - 결제수단추가 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외화통장을 개설하신 계좌정보를 등록하시면 됩니다. 초기 애드센스 정산 기준은 100$로 되어있는데 이 정산기준은 변경 가능합니다. 해외송금수수료를 절약하기 위해 이 기준을 높이는 것도 방법입니다. 지급 - 결제정보 - 설정(설정관리)에서 지급일정 옆의 연필모양 아이콘을 누르시면 수정 가능합니다.